가시리 서경별곡 청산별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2 12:08
본문
Download : 가시리 서경별곡 청산별곡.hwp
후대의 “아리랑 아라리오”로 이어진 민요 본래의 여음이 아닌가 싶다.
㉡ ‘갈던 사래(밭이랑)’로 보아, 물 아래 하류 지방에서…(省略)
,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Download : 가시리 서경별곡 청산별곡.hwp( 13 )
가시리 서경별곡 청산별곡
<가시리><서경별곡><청산별곡>에 대한 글입니다.
② ‘청산(靑山)’의 해석 문제
㉠ 혼탁한 속세와 대립되는 말
㉡ 농사짓고 사는 마을과 대립되는 말
▶ 제 6장에서 바다에 가서 “자기 구조개”를 먹고 살았으면 하는 말을 보면 정신적 위안이나 품위와는 거리가 멀 것 같고, 연명하는 데 소용된 식품이라 보아 마땅하다.
가시리와청산별곡서



(3) <청산별곡>(靑山別曲)
① 제 1장 : 넉 줄이고, 세 토막이어서, 줄 수는 안정감을 토막 수는 율동감을 지니고 있다아 한 장이 끝나는 곳에 여음이 삽입되어 있다아 이런 규칙은 제 8장에 이르기까지 그대로 유지된다 세 토막 가운데 마지막 것은 앞의 둘보다 짧은 편이어서 한층 경쾌한 느낌을 주는 것도 거의 그대로 되풀이된다 여음은 힘차고, 밝고, 유려하다.가시리와청산별곡서 , 가시리 서경별곡 청산별곡기타레포트 ,
다.
설명
순서
<가시리><서경별곡><청산별곡>에 대한 글입니다.
③ ‘가던 새’의 해석 문제 (3장)
㉠ ‘날아가던 새’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