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파와미소진폭파에대해說明(설명) 하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0 02:29
본문
Download : 설계파와미소진폭파에대해설명하시오.hwp
3)확률 분포법은 불규칙 파군중 각각의 파의 누적효율 등을 고려하기 위해 각각의 파에 대한 확률분포를 고려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방파제 케이슨의 활동량 및 호안의 월파량 등의 문제 해결에 이용한다. 각 항만마다 설계파를 정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심해파를 설계파로 하고 있따 한 항만에 있어서도 구조물전면수역의 수심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심해파를 설계파로 하지 않으면 여러개의 설계파를 절해야 하므로 불편하다.
1)심해파의 추산은 유의파법 또는 파랑 스펙트럼법에 의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8)설계 심해파는 재현기간과 구조물의 내용년수에 입각한 발생활률에서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발생확률을 어게 취하는가는 구조물의 기능, 중용도, 투자효율 등에 좌우되므로 각 경우에 대하여 책임기술자의 판단에 의해 결정하여야 한다. 복원력이 중력인 미소진폭 진행파의 理論(이론)유도는 다음과 같은 가정 하에 이루어진다. 설계파의 기본적 결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7)실측치의 유의파고가 실측지점 수심의 0.5배 이상 일 때는 쇄파의 effect(영향) 을 고려해야 한다.
2. 미소진폭파
미소진폭파理論(이론)은 심해역에서 극천해역까지의 파랑의 기본적인 성질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되는 것이다. 설계파에는 유의파를 택하는 경우가 많다. 설계에 사용하는 파랑의 제원은 파고, 파장, 주기 및 파향등이다.
여기서 과 은 각각 유의파의 파고와 주기이고, F는 취송거리이며, U는 풍속이다.
1)물은 비압축성, 비점성(이상유체로 …(생략(省略))
순서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다.
1.2 불규칙파의 계산법
불규칙파에 의한 설계 계산법은 심해에서 발생된 파랑의 이동으로 인한 해중 구조물에 작용하는 파의 변형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먼 바다에서 바람에 의해 발생되어 발달된 파가 연안에 전파되는 과정에서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해양 구조물의 설계에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따
1)단일 유의파법은 불규칙한 해양파를 파고와 주기가 유의파의 제원과 같은 규칙파로 대표시키고, 그 규칙파의 파형을 理論(이론)과 實驗에 의해 구하여 해양파의 변형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SMB법이 있따
2)단일 최고파법은 파군중 파고와 주기가 최고파의 제원과 같은 규칙파를 고려하고 이에 의한 파력에 대해 구조물이 안전하도록 설계하는 방법으로 해저 석유채굴용 등의 해양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에 이용한다.
설계파와미소진폭파에대해說明(설명) 하시오
설계파와미소진폭파에대해說明(설명) 하시오
설계파와미소진폭파에대해說明(설명) 하시오
Download : 설계파와미소진폭파에대해설명하시오.hwp( 83 )
설계파와미소진폭파에대해설명하시오설계파와미소진폭파에대해설명하시오 , 설계파와미소진폭파에대해설명하시오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공학기술



설계파와 미소진폭파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하시오
설 계 파
1. 설계파
방파제 등 항만 구조물을 설계할 때 사용하는 파랑을 설계파라고 한다.
6)실측data(資料)를 이용해서 심해파를 추정할 경우 실측파고는 파의 굴절이나 천수변형 등의 effect(영향) 을 받고 있기 때문에 파의 굴절계수 및 천수계수 등을 제외하고 심해파로 환산한다.
2)기상data(資料)에서 구한 추산치를 실측data(資料)로 보정할 경우, 실측data(資料)는 태풍 또는 계절풍 등에 의해 큰 파가 발생한 data(資料)를 포함해야 한다. 여기서, 발생확률이란 가정한 재현 기간의 파고보다 큰 파고가 내용년수의 기간 내에 적어도 한 번 발생할 확률이다. 실제의 구조물에는 굴절, 회절, 천수effect(영향) 및 쇄파 등을 거쳐서 도달한 파랑이 작용하고, 구조물의 방향에 따라 다르므로 수많은 경우가 있따 구조물을 설계할 때는 구조물에 가장 큰 파력이 작용하는 파고와 파향을 택해야 한다.
3)현지실측data(資料)가 전혀 없는 경우 또는 매우 한정된 조건의 경우에는 자연조건이 닮은 인접지역의 실측data(資料)를 참고로 하여 구할 수 있따
4)기상data(資料)에 의한 추산기간 이외에도 특이한 기록이 있는 경우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따
5)기상태풍에 의한 추산치를 쓰는 경우에는 과거의 태풍규모, 태풍의 경로등을 충분히 검토하고 발생확률까지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1.1 심해파의 추산
심해파의 추산은 발생역에 따라 다음과 같이 추산한다.
2)태풍과 같이 이동풍역에 발생되는 심해파의 유의파는 다음과 같은 wilson 제4차 수정식을 사용하여 추산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이때 파향의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5)스펙트럼법은 회절 등 파의 변형을 설계파 결정에 반영하기 위해 파의 스펙트럼 특성(特性)(파의 에너지방향 분포)成分마다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합성하여 파력을 계산하는 등의 방법으로 해저저류 탱크 등의 대형구조물에 작용하는 파력의 계산문제 등이 이용한다. 실제 바다의 파랑은 불규칙파이나 불규칙파를 미소진폭의 규칙파인 무수의 成分파의 집합으로 취급해서 시행한다.
1)실측data(資料)로서는 10년 이상의 data(資料)가 바람직하지만 실측data(資料)가 없는 경우에는 30년 이상의 기상data(資料)를 이용하여 추산치를 구하고 이를 실측치와 보정하여 사용한다.
4)불규칙파 實驗법은 불규칙파 모형을 이용하여 파의 변형 및 구조물에 대한 파의 작용을 직접적으로 검토하는 방법으로 풍동수로와 불규칙파 조파수로를 이용한 모형實驗에 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