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휘 계량의 단위 설정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7 06:09
본문
Download : 국어 어휘 계량의 단위 설정에 대하여.hwp
조사는 기본형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나 조사가 붙은 말이 굳어져 하나의 대표형을 이룬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이를 포함한다(다음은 「큰사전」이나 「…(drop)
‘남의집살이, 처남의댁’과 같이 한 단위로 붙여 쓰는 관용어들은 한 단위로 인식한다. 한 단위로 붙여 쓰는 것들은 본래 구나 문장의 형태이지만...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국어 어휘 계량의 단위 설정에 대하여
‘남의집살이, 처남의댁’과 같이 한 단위로 붙여 쓰는 관용어들은 한 단위로 인식한다. 그렇지만 ‘여보게, 여봐’와 같은 표현은 ‘여보세요’에 통합하여 합산한다.
‘여보세요, 맛있다’와 같이 구나 문장 단위 형태이지만 굳어져 관용적으로 한 단위로 쓰이는 표현들은 그대로 인정하여 한 단위로 본다. . 기본형이란 용언의 경우 활용의 기본형을 의미하고, 준말과 본디말의 경우 본디말을 의미한다. 한 단위로 붙여 쓰는 것들은 본래 구나 문장의 형태이지만 이것이 한 단위로 굳어져 인식되는 것들이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나 ‘낫 놓고 기역자’와 같이 한 단위로 붙여 쓰는 것이 아니면 한 단위로 인식하지 않는다. 따라서 ‘여보세요’를 그 자체로 한 단위로 인식한다. 간투사의 기능을 하는 ‘있잖아’도 마찬가지다.
기본형 원칙이란 조사를 계량의 단위에서 제외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남의집살이, 처남의댁’과 같이 한 단위로 붙여 쓰는 관용어들은 한 단위로 인식한다. 이것들은 사전에 그대로 표제어로 등록되어 있으며, 띄어 쓸 경우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된다고 인정되어 띄어 쓸 수 없도록 된 말들이기 때문일것이다
예: 남의집살이 - 남의집살이
여보세요 - 여보세요
맛있다 - 맛있다
재미있다 - 재미있다
쓸데없다 - 쓸데없다
있잖아 - 있잖아
‘여보세요’는 기본형을 굳이 설정하자면 ‘*여보다’가 된다 그러나 실제로 ‘여보다’라는 기본형은 존재하지 않는다. 한 단위로 붙여 쓰는 것들은 본래 구나 문장의 형태이지만... , 국어 어휘 계량의 단위 설정에 대하여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Download : 국어 어휘 계량의 단위 설정에 대하여.hwp( 38 )
설명
다. ‘*여보다’라는 기본형이 존재하지 않지만 ‘여보게’, ‘여봐’는 ‘여보세요’와 높임상의 차이만 보이는데 이 차이가 어미의 활용에 의한 것이기 때문일것이다
2.2. 기본형 원칙
기본형이란 대표성을 가질 수 있는 바탕이 되는 형으로서 대체로 형태상 기본이 되는 꼴을 의미하는 것이지 가장 많이 쓰이는 꼴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