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別思美人曲(별사미인곡) 감상 및 分析(분석) / 別思美人曲(별사미인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2:21
본문
Download : [고전문학] 別思美人曲(별사미인곡) 감상 및 분석.hwp
별시마인곡은 필사본 『가사』에 실려 있는데 북헌이 제주도에 귀양가서 1708년(숙종 34)에 지은 것으로 작품은 4음보 1행으로 계산하여 모두 79행이며, 율조는 3·4조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아 가사의 분량은 양미인곡을 모방하여 창작하였으나 구성은 『속미인곡』과 같이 대화체로 되어 있다아 또한 순 한글로 표현되어 있고 율조의 흐름과 언어구사가 평이하여 친근감을 갖게 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고전문학 別思美人曲별사미인곡 감상 및 분석 / 別思美人曲별사미인곡
![[고전문학] 別思美人曲(별사미인곡) 감상 및 분석-1139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A%B3%A0%EC%A0%84%EB%AC%B8%ED%95%99%5D%20%E5%88%A5%E6%80%9D%E7%BE%8E%E4%BA%BA%E6%9B%B2(%EB%B3%84%EC%82%AC%EB%AF%B8%EC%9D%B8%EA%B3%A1)%20%EA%B0%90%EC%83%81%20%EB%B0%8F%20%EB%B6%84%EC%84%9D-1139_01.gif)
![[고전문학] 別思美人曲(별사미인곡) 감상 및 분석-1139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A%B3%A0%EC%A0%84%EB%AC%B8%ED%95%99%5D%20%E5%88%A5%E6%80%9D%E7%BE%8E%E4%BA%BA%E6%9B%B2(%EB%B3%84%EC%82%AC%EB%AF%B8%EC%9D%B8%EA%B3%A1)%20%EA%B0%90%EC%83%81%20%EB%B0%8F%20%EB%B6%84%EC%84%9D-1139_02_.gif)
![[고전문학] 別思美人曲(별사미인곡) 감상 및 분석-1139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A%B3%A0%EC%A0%84%EB%AC%B8%ED%95%99%5D%20%E5%88%A5%E6%80%9D%E7%BE%8E%E4%BA%BA%E6%9B%B2(%EB%B3%84%EC%82%AC%EB%AF%B8%EC%9D%B8%EA%B3%A1)%20%EA%B0%90%EC%83%81%20%EB%B0%8F%20%EB%B6%84%EC%84%9D-1139_03_.gif)


別思美人曲(별사미인곡) 감상 및 analysis(분석) 1. 개관 별사미인곡은 숙종 때 북헌 김춘택이 지은 작품이다. 김춘택은 숙종 계비인 인내역후 김씨의 친정 조카인데 장희빈으로 인해 인현왕후가 폐비되었을 때, 글로 연좌 되어서 다섯 번이나 유배되고 세 번이나 옥에 갇혀 30여년을 고생했는데 이 별사미인곡은 그가 제주로 유배되었을 때 지은 것이다. 2. 원문과 해석 이보소 져각시님 셜운말 그만 오 (이보소 저 각시님 서러운 말씀 그만 하오) 말 을 드러 니 셜운줄 다모를쇠 (말씀을 들어보니 서러운 것이 끝이 없소) 인년인들 가지며 니별인들 갓탈손가 (인연인들 한가지며 이별인들 같을 것인가) 광한젼 백옥경의 님을뫼셔 즐기더니 (광한전 백옥경에 님을 모셔 즐기다가) 니래 였거니 재아을 업 손가 (이별을 하였거니 재앙인들 없을 것인가) 해다 저문날의 가 줄 설워마소 (해 다 저무는 날이 가는 것을 서러워마소) 엇더타 니내몸이 견흘데 전혀없내 (정녕코 이 몸을 견줄데가 전혀없네) 광 전 어대머오 백옥경 내아던가 (광한전이 어디 있던가 백옥경을 내가 알던가) 원앙침 비취금의 뫼셔본적 히없내 (원앙침과 비취금을 모셔본 적이 없네) 내얼골 이거동이 무엇로 남길고 (내 초췌한 얼굴과 거동으로 어찌 임을 사랑할꼬) 질 을 모 거니 가무야 더니 가 (길쌈을 모르거니 춤과 노래 더 이를가) 엇인지 님향 조각이 ...
Download : [고전문학] 別思美人曲(별사미인곡) 감상 및 분석.hwp( 94 )
別思美人曲(별사미인곡) 감상 및 분석 1. 개관 별사미인곡은 숙종 때 ...
[고전문학] 別思美人曲(별사미인곡) 감상 및 分析(분석) / 別思美人曲(별사미인곡)
別思美人曲(별사미인곡) 감상 및 分析(분석) 1. 개관 별사미인곡은 숙종 때 ...
순서
설명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