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장애아동에 관한 사회복지 실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5:41
본문
Download : 장애아동 레포트.hwp
(3) 장애아동복지
② 능력장애: 개인적 차원에서 일상적 활동 영역에 나타나는 이차적 장애
순서
(1) 근거: UN의 장애인권리선언(1975)
☞ 기능장애⇨ 능력장애 ⇨ 사회적 장애
② 넓은 의미: 의학적 수준에서의 장애+능력의 저하+사회적 불이익(WHO,1998)
① 기능장애: 심리적 - 신체적 또는 해부학 구조나 기능의 일부가 상실된 경우
(4) 장애아동 정이
1) 장애아동의 槪念
Download : 장애아동 레포트.hwp( 72 )





: 개인의 건강 상태와 사회environment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나타나는 결과
장애아동
(1) 장애의 槪念
① 좁은 의미: 신체 또는 정신의 기능 저하, 상실.
③ 사회적 장애: 사회 생활에 대한 참여에 제한을 받거나 지장을 초래하는 것
: 중- 고등학교 이하에 재학하고 있는 아동, 즉 18세 미만으로 장애인복지법에서 규정한 장애를 가진 사람
① 개인적 요인: 성, 나이, 건강상태, 삶의 형식, 습관, 양육태도, 성격, 사회적 배경, 교육정도, 과거와 현재의 경험, 심리적 characteristic(특성)
: 장애인복지법, 특수교육진흥법,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규정
[사회복지] 장애아동에 관한 사회복지 실천
: ‘장애인은 그 장애의 Cause , 특질 및 정도를 불문하고 같은 연령의 시민(市民)과 동등한 기본적 권리를 갖는다’
Ⅰ. 교재 7장 요약
④ 필요성: 개인 아동 자신은 물론, 가정 및 사회전체의 복지와 안녕을 위해 필요.
(2) 우리나라의 경우
1. 장애아동 복지사업의 槪念과 의의
다. ③ 중요성: 아동이 지닌 잠재능력, 잔존능력을 최대한 개발, 가능한 빨리 예방 및 재활해야 함.
설명
② 사회environment적 요인: 사회적 태도, 건축 장벽의 특징, 법체계
☞ 장애인복지법: 장애인이란 ‘신체적- 정신적결함으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장애의 종류 및 기준에 해당하는 자’로 규정(1999,2,전문개정, 장애범주확대, 장애에 대한 재槪念화)
(3) 장애의 재정이(WHO,2001)
(2) WHO의 장애의 세 가지 槪念(WHO,1980)
아동복지론 제7장 장애아동에 관한 사회복지 실천 자료입니다.
① 槪念: 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을 도와주는 것. 장애아동의 발생을 예방. 이들이 가지고 있는 잠재능력과 잔존능력을 최대한 발휘해서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것.
2) 장애아동 복지사업
② 의미: 국가나 민간 사회복지기관이 의료, 교육, 직업, 심리, 사회적 문제에 걸쳐 조직적으로 지원하는 일체의 활동과 노력을 의미.
레포트 > 기타
아동복지론 제7장 장애아동에 관한 사회복지 실천 자료(data)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