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노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3 14:54
본문
Download : 아미노산.hwp
L-alanine의 광학적 대장체(enantiomer)인 ⒝는 D-alanine이다. 이 예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α-아미노산의 입체구조를 나타내는 D-, L-의 기호는 α 위치의 아미노기가 Fisher의 투영식에서 왼쪽에 있을 때는 L-, 오른쪽에 있을 때는 D-가 된다된다. L-alanine을 Fisher의 투영식으로 나타내면 그림 3.4 ⒜와 같은 입체구조가 된다된다. Cα-H의 결합을 축으로 하여 순위가 높은 치환기에서 낮은 쪽으로 화살표를 그리면 그림 3.4…(skip)






아미노산
설명
다. 이 때 α 위치의 탄소의 치환기를 어떤 규칙에 따라 순위를 매기면 -NH2, -COOH, -CH3, -H의 순이 된다된다.
1.3. 아미노산의 입체화학
단백질을 구성하는 α-아미노산의 α 위치 탄소는 비대칭탄소이다.
그리고 S(sinister, 좌), R(rectus, 우) 표기법으로 α-아미노산의 입체구조를 나타내면 L-alanine의 경우 그림 3.4 ⒞와 같이 된다된다.
이와같이 아미노산은 1 위치의 카르복시기에 가까이 있는 α 위치(2 위치)의 탄소에 대한 입체배위(configuration)를 D-, L-의 기호로 표기한다. 즐거운 학교생활 보내세요.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아미노산.hwp( 21 )
순서
1.1. 아미노산의 그룹
1.2. 아미노산의 성질
1.3. 아미노산의 입체화학
1.4. 필수아미노산
1.5. 단백질의 실생활의 예
0.1M 염산으로 pH 1.3 정도로 조절한 아미노산 수용액에 0.1M NaOH를 가하면서 pH를 측정(測定) 하여 나타내면 그림 3.3과 같은 아미노산의 적정곡선이 얻어지는데 적정곡선의 변곡점으로부터 아미노산의 해리상수(pKa)와 등전점(isoelectric point; pI)을 알 수 있다아
아미노산의 pKa는 Henderson-Hasselbalch식에서 수용액내의 짝산과 짝염기의 농도가 같을 때의 pH이므로 적정곡선 상에서는 염기를 가하여도 pH가 그다지 change(변화)하지 않는 변곡점의 pH가 아미노산의 pKa이다. 연관분야 공부하시는데 참고할만한 내용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연관분야 공부하시는데 참고할만한 내용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표 3.1 참조)
중성아미노산, 산성아미노산, 방향족아미노산, 헤테로고리 아미노산, 이미노산의 등전점은 pI = 1/2(pKa1 + pKa2)이고, 염기성아미노산은 pI = 1/2(pKa2 + pKa3)이다. 즐거운 학교생활 보내세요. , 아미노산인문사회레포트 ,
아미노산의 일반적인 구조와 특징에 상대하여 정리한 reference(자료)입니다.아미노산의 일반적인 구조와 특징에 대해서 정리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