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독립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07:15
본문
Download : 조선독립군.hwp
(2)신민부의 항일전
일제와의 무장투쟁을 지휘할 독립군 장교를 양성하고 독립군의 전투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목릉현 소추풍에 교장 김혁, 부교장 김좌진, 교관 오상세 ∙ 박두휘 ∙ 백종렬, 고문 이범윤 ∙ 조성환으로 하는 성동사관학교를 설립, 운영하였다. 이어 1926년 6월 부터는 제2단계로 액목 ∙ 돈화 ∙ 안도지방의 행정 조직을 정비하여 총판 소재지가 15개소에 달하고 그 행정 관내가 중동선을 중심으로 길이가 장춘에서 구참에 이르고, 넓이가 백두산에서 흑룡강까지 미치는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1927년 8월부터 군사부위원장 김좌진에 의해 국내 진입작전 수행을 위한 예비 공작이 추진되었다.
신민부의 지방행정은 발족 후 제1단계로 영안지방을 비롯하여 내빈 ∙ 주하 ∙ 목릉 ∙ 밀산 등 광범위한 지역에 행정조직을 정비하고 각 지방마다 총판을 두어 교민 자취행정에 만전을 기했다. 이중삼 등 특수 공작대를 국내에 파견, 이들에 의해 함경도 ∙ 강원도 ∙…(省略)
Download : 조선독립군.hwp( 88 )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다. 15개 지역에 50개가 넘는 소학교를 설치하였고 이와 함께 교과서 편찬사업도 활발히 추진하였다. 북만이 신민부의 중심이 된 이유는 1920년 말 日本(일본)군의 만주 출병과 자유시참변으로 인해 많은 독립군과 민족운동자들이 이 지역에 집결되어 있었기 때문일것이다
신민부는 발족 직후 지방조직을 확장하는 한편 독립군의 편성과 훈련에 주력하였다. 먼저 모젤 ∙ 뿌로닝 권총 혹은 소총으로 무장한 500여 명의 별동대와 보안대를 편성하여 군사부위원장 김좌진의 지휘하에 다음과 같은 편제와 부서를 두었다. 수신, 지리 및 역싸요과서 등을 한글로 편찬하여 항일민족의식 고취에 노력하는 한편 학교가 설립된 지역에 교사를 파견하였다.
조선독립군에 상대하여
조선독립군에 대해서조선독립군 , 조선독립군법학행정레포트 ,
조선독립군
,법학행정,레포트
설명
조선독립군
3. 신민부의 성립과 활동
(1)신민부의 성립
1925년 3월 분만에서 북간도의 일부지방까지를 세력범위로 하는 신민부가 조직되었다.
특히 신민부는 교육활동에 대단히 적극적이었다.